선박업의 일반

선박업=수주업이다.
수주업

조선, 건설,기계,항공기 제조업이다.
특징, 사이즈가 크다. 소량생산. 고객 : 정부,기관, 기업
도크 60~70대, 최대 200대
수주업은 열등하다? 왜?
1. 유동성리스크(장기간 건조; 조선사 2년, 건설사 1년)
2. 저가리스크(비용>도급금액)-선주문시 원가 예측불가가 그 이유, 이 불확실성에는 환율, 원자재가격변동

수주잔고가 포인트.
조선사와 건설사의 가장 큰 차이점, Indoor냐 Outdoor냐?
조선 ; Indoor로서 공정생산기지가 정해져 있기때문에, 지속적인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여지
건설 ; Outdoor로서 대량생산, 표준화가 어렵다. 분산적, 이동성이 강하고, 정착X, 또한 정부규제도 많다. 원가산정이 어렵다.

중요한 회계 아이디어들

재고자산(완제품이 쌓여있어선 안된다.)

선수금(철저히 싸이클을 따라간다. 현금비중과 부채비율이 동시에 높아지기 때문에 주의)
현대중공업의 경우 2010년 1조 부터 2012년까지 꾸준히 선수금 감소세 (1조에서 9천억으로), 동시에 현금은 1조 8천에서 1조 5천으로 감소한다.

신규수주 총액
2009년 급감 후 2011년까지 급증, 이후에 주가는 15만원에서 45만원으로 증가.
하반기에 일단 실적이 꾸준히 개선된다는 점은 좋다. 악재는 유로존 재정위기다.

해양플랜트 : 시추선위에다가 정유파이프라인을 설립

해운 : 컨테이너, 벌크선(석탄, 곡물; 원가경쟁), 자동차, 탱커(오일전용선; 원유가격이 높아지면, ), LNG선(Membrane; 우리나라 독식, 셰일가스가 싸지면 수요가 좀 낮아질 가능성)

석유가격이 올라가면, 효율이 좋은 탱커, LNG선, 원양 시추선의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
해운업체는 적자로 빠진다. 해운업체들의 수주활동이 준다. 일반적으로는 수요가 줄어야 맞다. 2012년은 원유가격, 현대중공업 원화 1400원으로 오를 때, 선물 expose했다.
원가는 철강가격과 임금

조선사의 핵심 : 원가경쟁력+도크활용도(기술)

현대미포조선: 중형선, eco-vessel
조선업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조선은 선물매수, 은행은 선물매도)

해운: 운임 (100->5.6) 1/20